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천문우주지구과학44

뇌우, 호우, 토네이도, 해일의 발생 메커니즘 다양한 기상 현상들 대기와 해양에서의 다양한 현상과 자연 재해인 뇌우와 호우, 폭염, 해일 등은 최근 들어 지구 환경 변화와 맞물려 다양하게 발생하며 더욱 강력해지고 있다. 그 발생 원인과 과정을 이해하고 피해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뇌우 갑자기 날이 어두워지고, 강한 바람과 소나기가 내리면서 천둥과 번개가 큰 소리와 빛을 내는 것을 본 경험들이 있을 것이다. 강한 상승 기류에 의해 적란운이 발달하면서 천둥, 번개와 함께 소나기가 내리는 현상을 뇌우라고 한다. 뇌우는 강한 햇빛을 받아 국지적으로 가열된 공기가 활발하게 상승하거나, 한랭 전선에서 찬 공기 위로 따뜻한 공기가 빠르게 상승할 때 발생한다. 이런 현상은 집중 호우, 우박, 돌풍, 번개 등을 동반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순식간에 인.. 2022. 10. 26.
태풍 태풍 한여름의 불청객 태풍은 집중 호우와 강한 바람으로 우리에게 많은 피해를 준다. 그러나 지구 에너지 평형을 위해서는 매우 중요한 현상이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태풍은 7월에서 9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아주 드물지만 5월과 10월에 영향을 준 태풍도 있다 1976년 에는 무려 6개의 태풍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었고, 1988년과 2009년처럼 태풍이 모두 우리나라를 비껴간 경우도 있었다. 우리나라는 중위도 저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지만, 열대 지역과 가까이 있기 때문에 열대 기상 현상인 태풍의 영향을 함꼐 받는다. 태풍은 어떻게 발생하고, 어떤 경로를 따라 이동할까? 태풍의 발생과 이동 열대 저기압은 표층 수온이 27℃ 이상인 위도 5~25˚ 사이의 열대 해상에서 주로 발생한다. 저위도의 해.. 2022. 10. 25.
온대 저기압과 날씨 온대 저기압과 날씨 중위도 지역은 북쪽의 찬 공기와 남쪽의 따뜻한 공기가 만나는 경계 지역에 속한다. 중위도 지역에서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나면 두 공기 사이에는 불연속면인 경계면이 생긴다. 이를 전선면이라 하고, 전선면과 지표면이 만나는 선을 전선이라고 한다. 전선을 경계로 마주하는 두 공기의 성질이 다르므로, 양쪽의 습도와 기온 등이 크게 달라지며, 구름의 형성과 강수와 같은 기상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전선은 기단들의 물리적 성질에 따라 한랭전선, 온난전선, 폐색전선, 정체 전선 등으로 구분된다. 대치하는 두 기단의 세력이 비슷하면 일정 지역의 상공에서 긴 구름띠를 장시간 형성하는 전선이 발생하는데, 이를 정체 전선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주변에서는 여름철에 북태평양에서.. 2022. 10. 21.
기압과 날씨 기압와 날씨 지표면은 장소에 따라 상태나 수분 함량, 식생의 분포 등이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이 같아도 지표면에 따라 가열되는 정도가 각기 다르다. 이러한 부등 가열에 의해 대기의 온도 분포도 달라지고, 그에 따라 기압의 변화와 다양한 기상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날씨는 기압과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일까? 기압은 공기의 양에 따라 결정되며, 하루 중에도 기압이 높아지기도 하고 낮아지기도 한다.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기압이 낮은 것을 저기압, 주변보다 기압이 높은것을 고기압이라고 한다. 주위보다 기압이 낮은 저기압 중심 부근에서는 상승 기류가 발달하고, 상승하는 공기 덩어리는 단열 팽창하여 온도가 낮아지면서 구름이 생성된다. 고기압 상공에서는 그림과 같이 주위로부터 공.. 2022. 10.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