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동네 한 바퀴 청주 빨간스페니쉬 기와 파란나무대문 여장부 춘천씨가 고향 동네에 지은집 이춘순 우유빛뽀얀벽

by ★#■#○#☆ 2025. 3. 14.

건축탐구 집 아무렴 어때 손수지은 맞춤 집

건축탐구 집에서는 청주에 위치한 여장부 춘순 씨가 고향 동네에 지은 집을 만나본다. 충청북도 청주,외할머니댁에 놀러 온 것처럼 늘 자리를 지키는 당산나무와 정겨운 지붕들이 모여있는 마을이다.

 

건축탐구집-여장부춘순씨가고향동네에지은집
건축탐구집-여장부춘순씨가고향동네에지은집

 

마을에 새로 지은 빨~간 스페니쉬 기와와 우윳빛의 뽀얀 벽,그리고 파란 나무 대문이 반겨주는 이 집에는 집 짓는 게 로망이었던 아내 이춘순 씨와 남편 박태범 씨가 살고 있다.

 

아내 춘순 씨는 꼭 해야 하는 건95%는 그 분야에 대해 알아야 한다며 공부했다고 한다.남편 태범 씨 역시 집이란 것은 한 번 지으면,부수지도 고칠 수도 없으니 웬만하면 전문가의 손을 빌려서 하자고 하며 시공사를 알아봤다고 한다.

 

건축탐구집-여장부춘순씨가고향동네에지은집
건축탐구집-여장부춘순씨가고향동네에지은집

 

알아보는 와중 옆 마을에 집이라도 짓는다고 하면 직접 가서 눈으로 확인하고 체크했다고 한다.막상 시공사가 시공하는 걸 보자마자‘아,우리 집도 저렇게 하면 하자가 날 거 같은데?’라는 생각이 들어서 집 짓기 한 달 전!

아내 춘순 씨는 직접 집을 짓기로 한다.

 

건축탐구 집 양평 네모난집 호주에서 역이민한 부부의 로망집

 

건축탐구 집 양평 네모난집 호주에서 역이민한 부부의 로망집

건축탐구 집 아무렴어때, 손수지은 맞춤 집 건축탐구 집에서는 양평에 위치한 네모난 집 호주에서 역이민한 부부의 로망 집을 만나본다. 경기도 양평군,남한강이 굽이굽이 흐르는 아름다운 전

bongbongbox.tistory.com

 

 

춘순 씨는 나이 들어도 직접 관리할 수 있는20평을 기준으로 직접 모눈종이로 그려서 설계했다.아파트30평대 거실 치수를 재어 공용공간인 거실을 넓게 만들고 방에서는 침대만 들어갈 수 있게 만들었다.

 

건축탐구집-여장부춘순씨가고향동네에지은집
건축탐구집-여장부춘순씨가고향동네에지은집

 

그리고 방마다 문을 달지 않았다는데,,,아내 춘순 씨는 부부만 있으니 문이 꼭 있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고 한다.

 

건축탐구집-여장부춘순씨가고향동네에지은집
건축탐구집-여장부춘순씨가고향동네에지은집

 

하지만남편 태범 씨는 처음엔 문을 달지 않는 것에 이해하기 힘들었다고,,,하지만 살아본 결과 아치로 예술성을 추구하고 문 대신 블라인드 커튼으로 사생활을 보호해서 아주 만족한다고 한다.

 

건축탐구집-여장부춘순씨가고향동네에지은집
건축탐구집-여장부춘순씨가고향동네에지은집

 

또한 조명 배치에서도 춘순 씨의 공부가 빛을 발했는데 공간별로 적절한 색을 알게 되었고 너무 밝을수록 눈에 좋지 않다는 걸 배워서 춘순 씨의 결단은 간접 등이다.

 

건축탐구집-여장부춘순씨가고향동네에지은집
건축탐구집-여장부춘순씨가고향동네에지은집

 

메인 등을 쓰지 않고 간접 등만 써서 집을 밝혔고 거실과 주방을 다른 빛으로 구분하고 메인 등이 가장 예쁜 산을 만들 수 있는 위치까지 꼼꼼히 따졌다고 한다.고소공포증이 있어 비행기도 못 타는 춘순 씨가 한여름70도가 넘는 지붕 위에까지 올라가며 치열하게 직접 시공한 집 함께 탐구해본다.

 

건축탐구 집 양평 우리는 따로 또 같이 산다 분리된 주거공간

 

건축탐구 집 양평 우리는 따로 또 같이 산다 분리된 주거공간

건축탐구 집 노년! 외롭게 살고 싶지 않다면-우리는 따로 또 같이 산다 최근 가족의 형태가 다양해지면서,독립성과 유대감을 고려한 주거 형태는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비록 핵가족화

bongbongbox.tistory.com

 

건축탐구 집 쌍문동 8평 협소주택 미션 파서블 8평 코딱집에 담긴 계획

 

건축탐구 집 쌍문동 8평 협소주택 미션 파서블 8평 코딱집에 담긴 계획

건축탐구 집 미션 파서블, 8평 코딱집에 담긴 계획 서울 도봉구 쌍문동.유명한 만화와 드라마의 배경이 되는,이름부터 정겨운 동네다.빨간 양옥집이 늘어선 골목길을 걷다가 성냥갑처럼 좁고 길

bongbongbox.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