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척스러운 산나물 어머니와 일곱 남매의 겨울 이야기 – 경상북도 울진군
고사리나물로 대한민국 식품 명인에 오른 고화순(56세) 씨에게 산나물은 운명이었다. 눈물겹게 가난했던 어린 시절, 방 두 칸짜리 작은 흙집에서 7남매와 부모님까지 모두 아홉 식구가 부대끼며 살았다.
천식을 앓던 아버지는 몸이 약해 오래 일하기 힘들었고, 어머니가 아버지 대신 가장 역할을 맡아야 했다. 남의 집 밭일도 하고, 산에서 나물을 뜯어다 팔고. 7남매를 먹이고 가르치기 위해 어머니는 안 해본 일이 없었다. 화순 씨도 어머니를 도와 산을 오르며 나물을 캐고 겨울엔 땔감을 구하기 위해 나무를 했다.
고사리나물 명인 고화순 산나물주문정보는아래에 있습니다.
▶하늘농가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독정로 273번길 9
홈페이지: www.onskyfarm.com
문의: 031-563-5637
7남매가 학교에 다닐 때도, 도시락 한 번 싸주지 못할 정도로 형편은 늘 어려웠다. 자식들 배곯는 게 늘 걱정이었던 어머니는 새벽에 일하러 가기 전 고사리에 무채를 넣고 콩가루를 버무려 국을 끓이셨다.
음식이 잘 쉬지 않는 겨울에는 가마솥에 하나 가득 끓여서 일주일씩 먹곤 했다고. 밤이 긴 겨울, 화순 씨네 7남매는 고사리콩가루국으로 허기를 달랬다. 고소한 국물 맛은 아무리 먹어도 물리지 않았더란다.
그마저도 시간이 안 될 땐 서둘러 호박범벅을 만들어 주시기도 했다. 쌀가루는 값이 비싸 언감생심 꿈도 꾸지 못했고, 양을 늘리기 위해 밀가루를 넉넉하게 넣었는데 일곱 남매의 유일한 군것질거리가 호박범벅이었다.
한국인의 밥상 포항 오징어 횟집 박정석 오징어뭇국 삼치시래기볶음 건오징어볶음 통어징어찜
한국인의 밥상 포항 오징어 횟집 박정석 오징어뭇국 삼치시래기볶음 건오징어볶음 통어징어찜
■ 포항 바다의 젊은 어부와 어머니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동해면 임곡항우리 국토의 동쪽 끝에 있는 포항의 호미곶. 자정을 넘긴 시간, 배 한 척이 호미곶 앞의어두운 밤 바다로 출항한다. 주
bongbongbox.tistory.com
장이 서는 날엔 당시 값이 쌌던 고등어를 사다가 끓이셨고 그날은 생일처럼 특별하게 느껴졌다. 고등어의 살만 발라 고사리와 시래기를 넣고 얼큰한 맛을 내는데, 동네 사람 다 불러 먹이시느라 정작 7남매는 배불리 먹지 못했던 기억도 있다.
어린 마음에 어머니가 얼마나 원망스러웠는지 몰랐다는 화순 씨. 그 시절 배고픈 설움을 누구보다 잘 알았던 어머니의 넉넉한 마음을 이제야 이해할 수 있을 같다.
가난은 혹독했지만 어머니의 음식이 있어 그 시절을 그리움을 추억할 수 있었다. 억척스럽게 7남매를 키워 낸 가슴 따듯한 겨울 밥상 이야기를 들어본다.
한국인의 밥상 서천 김 물김 떡국 동죽회무침 물김전 물메기 맑은탕 송석항 조개 김 주문
한국인의 밥상 서천 김 물김 떡국 동죽회무침 물김전 물메기 맑은탕 송석항 조개 김 주문
올해도 어제만 같아라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송석항2025년 1월 2일 한국인의 밥상 686회에서는 신년 기획 2025년 새해 밥상에 희망을 담다가 소개된다. 동해에서 떠오른 해가 10여 분 뒤 서해의
bongbongbox.tistory.com
한국인의 밥상 태백 실비 고깃집 연탄한우구이집 연탄불 구이 고기집
한국인의 밥상 태백 실비 고깃집 연탄한우구이집 연탄불 구이 고기집
막장, 그 뜨거운 날의 추억 -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1960~70년대 서민들의 연탄 수요가 줄어들면서 강원도 태백시는 한 때 50곳이 넘는 탄광이 모여있던 대표적인 석탄 도시. 마지막 남아있던 장성
bongbongbox.tistory.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의 밥상 문경 화담마을 장명옥 골뱅이국 콩가루시래기찜 옹심이미역국 다슬기 골뱅이 (0) | 2025.01.08 |
---|---|
한국인의 밥상 메밀묵 묵두루치기 김치전골 문어숙회 무전 배춧잎전 묵은지 돼지고기 (0) | 2025.01.08 |
한국기행 함양 지리산 가마솥 된장 고추장 점순엄마 메주 아궁이 옻간장 옻고추장 주문 산골밥상 (0) | 2025.01.07 |
한국기행 산청 감암산 캠핑명당 포항 영일대 일출 맛집 (0) | 2025.01.07 |
나는 자연인이다 자연인 권문순 굳세어라 문순 씨! (0) | 2025.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