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천문우주지구과학44

천체를 관측하는 망원경 천체를 관측하는 망원경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손수 제작한 망원경으로 달을 관찰하고, 달에도 지구와 같은 지형들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우주에 대한 인간의 지식은 망원경의 발달과 더불어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여기서는 우주 관찰의 필수 도구인 망원경의 종류와 원리를 알아보고, 망원경을 통해 알게 된 것들이 무엇인지 살펴보자. ▶ 광학 망원경의 구조와 성능 우리가 물체를 볼 수 있게 해 주는 빛(가시광선)을 이용한 광학 망원경은 크게 렌즈를 사용하는 굴절 망원경과 거울을 사용하는 반사 망원경으로 나뉜다. 굴절 망원경은 빛이 렌즈를 통과할 때 굴절되는 특성을 이용해 빛을 모으는 망원경으로, 상이 깨끗하고 안정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크게 만들 경우 가공이 어렵고 색수차가 심해지므로 대형 망원경.. 2022. 11. 28.
태양계 구성원들의 특징 태양계 구성원들의 특징 태양계 천체들은 인간이 오래전부터 그 움직임과 생김새 등을 관찰해 왔지만, 그 특징이 속속 밝혀지게 된 것은 우주 탐사선들을 이용하게 된 20세기 후반부터이다. 여기서는 최근까지 알아낸 태양계 천체들이 특징을 살펴본다. ▶ 태양계의 구성원들 우리가 사는 지구는 태양을 중심으로 1년에 한 번씩 그 주위를 공전하고 있다. 이처럼 태양의 중력에 묶여 있는 천체들을 통틀어 태양계라고 한다. 태양계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천체는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별)인 태야이다. 태양계 전체 질량의 99.8%를 차지하는 태양은 막대한 중력으로 행성과 위성들, 왜소행성, 소행성, 혜성, 유성체 등을 거느리고 있다. 행성은 태양 다음으로 규모가 큰 천체로, 태양계에는 모두 8개의 행성이 있는데 물리적인 특.. 2022. 11. 25.
태양계 탐사 태양계 탐사 1961년 구 소련의 유리 가가린이 보스토크호를 타고 최초로 지구 둘레를 한 바퀴 도는 우주 비행을 한 후 지금까지 많은 우주 탐사선이 개발되어 태양계 탐사가 진행되어 왔다. 태양계 탐사는 어떻게 진행되어 왔으며 그 과정에서 얻은 성과들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 태양계 탐사의 목적 오래전부터 우주에 대해 동경과 함께 경외심을 품어 온 인간은 마침내 과학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직접 우주 탐사선을 개발해 태양계 탐사에 나서게 되었다. 초기 태양계 탐사는 우주에 대한 인간의 호기심과 도전 정신에서 비롯되었으나, 차츰 우주를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적을 띠게 되었다. 우주 탐사를 위해서는 최첨단 과학 기술들이 종합적으로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우주 탐사 과정은 과학 기술의 발전 과정과도.. 2022. 11. 24.
행성의 운동 행성의 운동 천구 상에서 위치가 고정된 다른 천체들과 달리 행성들은 천구 상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옛사람들에게는 호기심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행성들의 이러한 움직임을 밝혀 내는 과정을 통해 자연을 대하는 인류의 관점은 주관적인 자세에서 점차 객관적으로 바뀌었고, 과학이 급속도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 지구 중심설과 태양 중심설 1609년 이탈리아의 과학자 갈릴레이는 손수는 제작한 망원경으로 금성을 관찰하던 중 금성도 달처럼 위상이 변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금성이 보름달처럼 둥글게 보이는 경우를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당시 대부분 사람들이 믿었던 지구 중심설(천동설)로서는 설명하기 힘든 것이었다. 지구 중심설에서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고, 태양과 달, 행성들이 지구 둘레를 공전한다고 주장하.. 2022. 11.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