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천문우주지구과학44

달의 운동 달의 운동 밤하늘에서 가장 밝게 보이는 달에 대해서는 민족마다 전설을 가지고 있다. 우리 민족도 달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가지고 있고, 예로부터 고분벽화에 달의 신을 표현할 정도로 달을 신비하게 여기고, 달 세계를 동경해 왔다. 달을 관측해 보면서 달의 모양이 달라지는 이유를 알아보고, 지구와 태양, 달의 위치 관계에 따라 어떤 현상들이 나타나는지 알아보자. 지구의 유일한 위성으로 제일 가까운 천체인 달은 밤하늘에 보이는 천체들 중 우리에게 가장 친숙하면서도 까다로운 존재이다. 달은 뜨고 지는 시각이 일정하지 않고 그 모양이 주기적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인류는 이와 같은 달의 모양 변화를 달력에 반영하여 시간의 흐름을 계산해 왔다. 달의 맨눈으로 보면, 표면에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보이는데, 옛사람.. 2022. 11. 23.
태양의 활동 태양의 활동 태양계 내의 유일한 별(항성)인 태양은 강한 인력으로 행성을 비롯한 수많은 천체들을 거느리고 있으며, 태양계 내에서 벌어지는 모든 현상에 관여하고 있다. 특히 지구의 생명체는 태양의 빛과 열을 이용해 생명 활동을 유지하고 있는데, 우리 인간은 생물학적 활동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부분까지도 상당 부분 태양에 의지하고 있다. 태양이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또한 지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자. ▷ 태양 표면 관측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태양은 매초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는 거대한 가스 덩어리이다. 태양의 에너지는 중심부에서 핵융합을 통해 만들어지는데, 복사와 대류를 통해 표면으로 전달되고, 다시 우주 공간으로 복사되어 지구에 도달한다. 태양 에너지는 지구에서 각종 자연 현상과 .. 2022. 11. 22.
천체의 위치와 좌표계 천체의 위치와 좌표계 옛사람들은 별자리를 이용해 천구 상에 보이는 천체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냈다. 하지만 별자리만으로 천체들의 위치를 정확히 나타내기는 어렵다. 더욱이 인공위성 같은 비행 물체들을 정확히 통제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람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 우리 조상들이 별자리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 사용했던 기구는 혼천의이다. 어떻게 하면 천구 상에 천체의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을까? 지도상에서 어떤 지역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위도와 경도를 사용하는 것처럼 평면 또는 공간에 있는 한 점의 위치는 기준점 또는 기준선으로부터 그 점까지 떨어진 거리나 각도로 표현한다. 즉, 무언가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기준이 필요한데, 이와 같은 기준이 되는 틀을 좌표계.. 2022. 11. 22.
별자리와 지구의 운동 별자리와 지구의 운동 과학과 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시절 밤하늘에서 별자리의 움직임을 관찰하는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었다. 별자리는 시간과 계절을 알려주는 시계와 달력이었고, 멀리 여행하는 사람에게는 나침반이었다. 그래서 우리 선조들은 매우 정밀한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를 만들어 별자리의 움직임을 관측하였다. 천구와 별자리 불빛이 거의 없는 곳으로 가서 밤하늘을 살펴보면, 하늘에는 무수히 많은 별이 총총 떠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별들을 여러 날 관측해 보면, 태양과 마찬가지로 매일 동쪽 하늘에서 떠서 머리 위를 가로질러 이동하다가 서쪽 하늘로진다. 옛사람들은 별들의 이러한 움직임을 이용하여 시간과 날짜의 흐름을 알아냈다. 따라서 별들의 움직임을 자세히 관찰할 필요가 있었다. 별들을 관찰하던 사람.. 2022. 11. 21.
반응형